[Linux] 리눅스 ls 명령어, ls옵션

ls 명령어란?

ls는 리눅스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 중 하나임. “list”의 줄임말로, 현재 디렉토리나 지정한 경로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보여주는 역할을 함.

윈도우의 dir 명령어와 비슷한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됨.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필수 명령어임.

기본 사용법

ls

그냥 ls만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이 표시됨. 특정 경로를 보고 싶다면 경로를 함께 입력하면 됨.

ls /home/user
ls /var/log

주요 옵션들

ls 명령어의 진짜 파워는 다양한 옵션에 있음. 상황에 맞는 옵션을 사용하면 훨씬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옵션설명예시
-l자세한 정보 표시 (권한, 소유자, 크기, 수정일시)ls -l
-a숨김파일까지 모두 표시ls -a
-la숨김파일 포함 자세한 정보 표시ls -la
-h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쉽게 표시ls -lh
-t수정 시간 순으로 정렬ls -lt
-r역순으로 정렬ls -lr
-S파일 크기 순으로 정렬ls -lS
-R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표시ls -R
-d디렉토리 자체의 정보만 표시ls -ld /home
-i아이노드 번호 표시ls -li
--color파일 타입별로 색상 구분ls --color=auto

실무에서 자주 쓰는 조합

기본 정보 확인

ls -al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합임. 숨김파일 포함해서 모든 파일의 상세 정보를 보여줌. 권한, 소유자, 그룹, 크기, 수정일시까지 한 번에 확인 가능함.

최근 수정된 파일 찾기

ls -alt

최근에 수정된 파일부터 순서대로 보여줌. 로그 분석이나 최근 작업한 파일을 찾을 때 유용함.

큰 파일 찾기

ls -alhS

파일 크기가 큰 순서대로 정렬해서 보여줌. 디스크 용량 관리할 때 어떤 파일이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음.

디렉토리만 보기

ls -ld */

현재 경로의 디렉토리만 골라서 보여줌. 폴더 구조를 파악할 때 유용함.

ls -l 출력 결과 해석하기

ls -l 명령어의 출력 결과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예시를 보면:

drwxr-xr-x 2 user group 4096 Dec 10 14:30 documents
-rw-r--r-- 1 user group 1024 Dec 10 15:00 test.txt

각 필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음:

필드의미설명
첫 번째 문자 ex) d파일 타입d: 디렉토리, -: 일반파일, l: 심볼릭링크
다음 9문자 ex) rwxr-xr-x권한소유자/그룹/기타 사용자의 읽기/쓰기/실행 권한
숫자하드링크 수해당 파일을 가리키는 하드링크 개수
첫 번째 이름소유자파일의 소유자 이름
두 번째 이름그룹파일이 속한 그룹 이름
숫자파일 크기바이트 단위의 파일 크기
날짜/시간수정 시각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와 시간
마지막파일명파일이나 디렉토리 이름

유용한 팁들

와일드카드 사용

ls *.txt        # txt 확장자 파일만 보기
ls test*        # test로 시작하는 파일들 보기  
ls *log*        # 이름에 log가 포함된 파일들 보기

여러 옵션 조합

ls -alrt        # 모든 파일을 시간 역순으로 자세히 보기
ls -alhS        # 크기 순으로 정렬하되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주의사항

성능 고려사항

파일이 많은 디렉토리에서 ls -R 같은 재귀 옵션을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함.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권한 문제

일부 디렉토리는 권한이 없어서 내용을 볼 수 없을 수 있음. 이런 경우 sudo를 사용하거나 권한을 변경해야 함.

ls 명령어는 단순해 보이지만 다양한 옵션을 조합하면 정말 강력한 도구가 됨. 리눅스 시스템 관리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이니까 옵션들을 익혀두면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거임.

특히 서버 관리할 때는 로그 파일 확인, 설정 파일 찾기, 디스크 용량 체크 등에서 계속 사용하게 될 명령어임. 처음에는 기본 옵션부터 시작해서 점차 고급 기능들을 익혀나가는 것을 추천함.

댓글 남기기